기술

코딩스타일

cha123 2022. 4. 17. 08:16

카멜케이스 : Camel Case

 

- 이름 지을 때 보통 camelCase를 사용한다. 마치 낙타의 등이 언덕이 솓은 모습 처럼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.

 

두개 이상의 단어에 사용한다. 첫글자는 소문자 다음 단어는 대문자이다. 카멀케이스를 쓰면 한 단어로 된 변수의 이름도 소문자를 사용하여 일관성을 준다.

int studentNumber

2) 파스칼케이스: Pascal Case

 

- 파스칼케이스는 카멜케이스와 달리 변수의 첫글자를 대문자로 시작한다.

int StudnetNumber

3) 스네이크케이스 (snake case)

 

- 스네이크 케이스는 뱀이 기어가는 모양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. 이제 보니 프로그래머들은 동물을 좋아하는 것 같다. 기본은 소문자이다.

int student_id

 

4) 헝가리안표기 (Hungarian notation)

 

- 헝가리식 표기법은 변수명 앞에 자료형을 붙여주는 방식이다. 접두사에는 ch, str, b, arr 등이 다양하게 있다. ch 는 char, str은 String, b는 byte 등 워낙 생략이 많이 되어 있어서 규칙에 대하여 공부를 해야한다.

 

마이크로 소프트의 윈도우 애플리케이션 개발과정에 많이 사용되었는데 그 영향인지 WIN32 API 에 lpsz 같은 접두어가 붙은 변수명이 유난히 많다. 최근에는 동적 타입 프로그래밍 언어의 보급으로 이렇게 타입에 집착하는 언어의 인기는 좀 줄어들은 것 같다. 자바 정도는 C++에 비하면 매우 단순한 구조로 보인다. 동적 타입언어는 이런 표기 자체를 할 수가 없다. 왜냐하면 프로그래머가 타입을 결정하는게 아니라 컴파일러(인터프리터)가 자료타입을 추정해서 할당하기 때문이다.

 
String strName;
 
 
 
char ch1;
 
 
 
byte bAge;

 

* 딱 네가지가 끝이 아니라 위 네가지를 서로 조합해서 또 여러가지 조합방식이 나올 수 있다.